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49

[C 프로그래밍] 배열 (Array) - 형식이 같은 자료 여러 개를 모아 한 덩어리로 관리하는 문법- 여러 요소를 식별하기 위해 인덱스를 사용하며 0부터 시작(Zero-based index) (기준으로 부터 얼마나 떨어져있나)- 배열의 이름은 식별자 이름이기도 하지만 주소이기도 하다. (R Value이다.) 문자 배열 (문자열)- 문자열의 실체는 char[]- 문자열 상수란 쓰기가 허용되지 않는 이름이 없는 char[]- 문자열의 끝은 반드시 \0 (null)- 문자열 상수는 보통 포인터를 사용해 관리 2024. 10. 8.
[C 프로그래밍] 연산자 연산자- CPU 연산과 직결되는 문법 (실행과 직접적 연관)- 연산자 자체는 하나의 항- 여러 항을 모아 연산식 작성- 연산자와 피연산자로 구성- 피연산자가 2개 항이면 2항 연산자 (하나는 단항, 셋이면 3항 연산자) 연산자 종류- 산술 연산자대표적인 2항 연산자+, -, *, /,  %연산의 결과로 임시결과 발생정수 간 나눗셈의 결과는 반두시 정수가 되며 소수점 이하는 절사- 대입 연산자- 형변환 연산자- 단항 증/감 연산자- 비트 연산자- 관계, 논리 연산자, 조건 연산자- sizeof 연산자 (메모리 크기 확인을 위함) 연산자 우선 순위우선순위연산자결합성우선순위연산자결합성1() [] . ->L -> R9^ (논리 연산자)L -> R2* & ! ++ -- (type) sizeof -L 10| (논리.. 2024. 10. 8.
[C 프로그래밍] 문자열 입/출력 문자열 입/출력- gets() (보안 결함 문제가 있음) / puts()- gets_s()- printf() / scanf(), scanf_s() 문자열- char[n]- null로 끝난다. string zero- 가변길이가 얼마나 될지 모르는 경우가 다수 2024. 10. 2.
[C 프로그래밍] CS 기초 자료형- C언어에서의 자료형은 일정길이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해석하는 방법- 자료는 결국 숫자- C언어의 변수는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한 문법 C언어 자료형- 정수형 (부호유무, 크기)- 실수형 (단정도, 배정도)- 유도형 (*, [], 구조체, 공용체)- 함수형- 무치형 (void) 상수 정의 및 종류- 값이 확정되어 앞으로 변할 가능성이 없는 수- 리터럴 상수와 심볼릭 상수가 있음 리터럴 상수- 문자 상수(아스키코드) ex) 'A'- 문자열 상수 ex) "Hello World"- 정수 상수 ex) 3, 4l- 실수 상수 ex) 4.5f, 123.45 (배정도) 변수 = Memory- 구체화하지 않았거나 앞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 수 (혹은 미지의 수)- 메모리를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- 변수.. 2024. 9. 30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