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언리얼/강의

[C 프로그래밍] CS 기초

by 으얏 2024. 9. 30.

자료형

- C언어에서의 자료형은 일정길이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해석하는 방법

- 자료는 결국 숫자

- C언어의 변수는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한 문법

 

C언어 자료형

- 정수형 (부호유무, 크기)

- 실수형 (단정도, 배정도)

- 유도형 (*, [], 구조체, 공용체)

- 함수형

- 무치형 (void)

 

상수 정의 및 종류

- 값이 확정되어 앞으로 변할 가능성이 없는 수

- 리터럴 상수와 심볼릭 상수가 있음

 

리터럴 상수

- 문자 상수(아스키코드) ex) 'A'

- 문자열 상수 ex) "Hello World"

- 정수 상수 ex) 3, 4l

- 실수 상수 ex) 4.5f, 123.45 (배정도)

 

변수 = Memory

- 구체화하지 않았거나 앞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있는 수 (혹은 미지의 수)

- 메모리를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

- 변수는 메모리가 가지는 특성(위치정보인 주소, 공간의 크기)을 가짐

- 변수는 개수가 중요 -> 경우의 수(범위)와 관련이있음 -> 복잡성과 관련이 있음

 

컴퓨터가 글자를 다루는 방법 - 아스키코드

- 십진수 65

- 컴퓨터에겐 영문 대문자 'A'

- 16진수로는 0x41

 

 

'언리얼 > 강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 프로그래밍] 배열 (Array)  (0) 2024.10.08
[C 프로그래밍] 연산자  (0) 2024.10.08
[C 프로그래밍] 문자열 입/출력  (0) 2024.10.02

댓글